School of Environment and Energy Engineering
연구실Prof. | 강성봉 | Prof. Sungbong Kang |
---|---|
Homepage | 사이트 바로가기 |
Tel | 062-715-2465 |
Intro. |
환경촉매 연구실 (Environmental Catalysis Laboratory)에서는 초미세먼지 발생 저감을 위한 대기환경 오염 물질의 정화와 함께 친환경 에너지 효율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촉매 시스템 개발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환경촉매 기술은 여러 산업 현장 그리고 자동차 및 선박 등에서 배출되는 대기오염물질을 사전에 정화하여 화학적 결합으로 생성되는 독성 초미세먼지 발생 원인을 사전에 차단할 수 있으며, 공기질 환경 개선에 직접적으로 기여할 수 있는 연구를 수행 중입니다. |
Prof. | 강창근 | Prof. Chang-Keun Kang |
---|---|
Homepage | 사이트 바로가기 |
Tel | 062-715-2447 |
Intro. | 동위원소생태학 연구실(Stable Isotope Ecology Laboratory)은 동위원소 추적자를 이용하여 해양생태계 먹이망을 통한 물질(에너지)의 흐름을 이해하고자 하는 연구실이다. 현재 입자물질과 식물플랑크톤 생화학조성의 시·공간 변동과 함께 변화하는 환경에서 서식생물의 생리생태 변화 및 생체에너지 대사 분석을 통한 생존과 적응전략을 밝히는 연구를 하고 있다. 생태계 먹이망 구조와 기능에 대한 연구에 더하여 환경변화에 따른 하위 및 상위영양단계 먹이망 구조변동, 저서생물 생물량 정량 및 저서 먹이망 구조분석,성층화와 혼합층 발생 및 변화에 따른 기초생산력 변동, 기후변화에 따른 생물종의 반응과 생물군집 변동 등의 연구를 통하여 생태계 변화 양상과 생태환경을 이해할 수 있는 다양한 분야의 정보를 얻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
Prof. | 김경웅 | Prof. Kyoung-Woong Kim |
---|---|
Homepage | 사이트 바로가기 |
Tel | 062-715-2450 |
Intro. | 토양환경 연구실(Soil Environment Laboratory, SEL)에서는 산업활동과 도시화, 광산활동, 유기물질, 방사능 및 토양모재와 같은 물질에서 유래된 중금속 원소들이 암석-토양-자연수-식물-동물-인간계에서 이동하는 것을 제어하기 위하여 이들의 기원, 분포 및 이동 경로와 화학적 존재형태를 밝히는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또한, 오염된 토양의 중금속 및 유기물질의 제거에 관한 기술 개발과 적용을 연구하며, 전기장을 이용한 ESP법(Electrokinetic Soil Processing), Soil flushing, Bioremediation 및 오존을 이용한 처리 등 여러 가지 기술이 개발되었다. 개발된 기술을 유류오염 토양과 폐광지역 및 폐기물 매립지의 토양정화에 적용하는 연구도 수행중이며, 그 복원정도를 생물학적 방법 및 LIF를 이용한 광학적 방법으로 모니터링하는 기술에 대한 연구도 수행되고 있다. |
Prof. | 김상돈 | Prof. Sang-Don Kim |
---|---|
Homepage | 사이트 바로가기 |
Tel | 062-715-2577 |
Intro. | 환경독성화학 연구실 (Environmental Toxicology & Chemistry Laboratory)에서는 인간의 활동으로부터 발생되는 환경 오염물질이 수계와 대기로 유출되어 생태계뿐만 아니라 인간에게로 미치는 영향을 연구한다. 오염물질의 독성학적 영향 조사를 위해 세포 독성에서부터 다세대 독성까지 다양한 범위의 독성 실험을 수행하며, 생체 내 독성 작용 기작 및 독성 발현 경로를 조사한다. 또한 실제 자연 상태에서 일어나는 오염물질의 형태 변화와 거동을 확인하기 위해 현장 모니터링 조사와 화학적 분석을 수행하며, 이를 토대로 독성 예측 모델 및 평가 방법을 구축하여 인체 및 생태계 보호를 위한 위해성 평가와 오염 물질의 효율적 처리에 대해 연구하고 있다. |
Prof. | 김은석 | Prof. Eunsuk Kim |
---|---|
Homepage | 사이트 바로가기 |
Tel | 062-715-3650 |
Intro. | 자연 생태계의 생물들은 서식지 환경 조건의 영향을 수동적으로 받는 존재가 아니다. 생물들은 개체(individual)및 개체군(population)의 수준에서 환경 조건들에 능동적으로 반응하고 대응한다. 진화 생태학 연구실(Evolutionary Ecology Laboratory)에서는 인간에 의해 변화하는 환경 조건들에 대한 식물의 진화적, 생태학적 대응 메카니즘에 대한 연구를 수행한다. 특히 현재 진행되고 있는 기후 변화에 대한 식물 종들의 반응 연구를 통해 기후 변화로 인한 식물 종 분포의 변화 예측에 기여하고자 한다. 현재 진행 중이거나 계획 중인 과제는 1) 한국 자생 십자화과 식물들의 유전형 및 생태형 파악 2) 변화된 기후 조건 하에서 십자화과 식물들의 생리적 그리고 양적유전학적 반응 연구 3) 각종 오염물질에 대한 식물들의 생리적, 양적유전학적 반응 연구 4) 도시환경에 적응된 십자화과 식물의 다양성 연구 등이 있다. |
Prof. | 김준하 | Prof. Joon Ha Kim |
---|---|
Homepage | 사이트 바로가기 |
Tel | 062-715-2475 |
Intro. | 변화가 급격한 현대사회를 살고있는 우리는, 발전된 과학과 도시화의 혜택을 누리고 있는 반면, 사회개발의 부작용으로 도래된 환경오염이라는 현실에 직면하고 있다. 특히나, 물이라는 매체는 생태계의 존속과 여가활동을 위해 사용되는 것 뿐아니라, 환경오염물질의 전달매체로서, 결국엔 오염물질의 최종집결지로서의 역할을 하고있다. 이러한 물환경오염문제는 환경시스템 자신이 가지고 있는 복잡성에의해 해결방안을 찾는 데 많은 어려움이 있다. 환경시스템공학 연구실은 복잡성과 무작위성을 내재하고 있는 환경시스템에 대한 과학적/논리적 고찰을 통해, 환경오염에 대한 최적의 솔루션을 찾기위한 체계적인 연구를 진행한다. |
Prof. | 김창우 | Prof. Chang Woo Kim |
---|---|
Homepage | 사이트 바로가기 |
Tel | 062-715-2787 |
Intro. | 물 안보 연구실은 첨단 수처리와 공학적인 물질, 인류 발생적인 입자 (미세 플라스틱)의 환경영향평가를 환경위생과 물 보건의 관점에서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관련된 연구분야는 아래와 같습니다.
|
Prof. | 김형록 | Prof. Hyung Lok Kim |
---|---|
Homepage | 사이트 바로가기 |
Intro. | 기후 변화와 인간의 활동으로 인해, 미래의 수자원과 자연재해 예측에 대한 불확실성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우리 Hydro AI Lab에서는 지표면과 대기 간의 복잡한 상호작용을 연구하여 기후 변화가 수자원 및 자연재해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합니다. 지구탐사 위성, 지표 모델 및 인공지능/기계 학습을 활용하여 자연재해 및 수자원 예측의 정확도를 향상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이러한 연구는 새로운 위성기반 데이터 및 알고리즘 개발, 지표 모델 정확성 향상, 그리고 고성능 컴퓨팅을 활용한 전지구 규모 지표 모델 시뮬레이션 등이 포함됩니다. |
Prof. | 김태영 | Prof. Tae Young Kim |
---|---|
Homepage | 사이트 바로가기 |
Tel | 062-715-3647 |
Intro. | 환경 질량분석화학 연구실에서는 미세 플라스틱, 미세 먼지, 생활화학제품 등의 환경 오염 물질 및 기후 온난화와 같은 지구 환경의 변화가 생태계와 인체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한다. 환경 유해 요소들의 생체 위해성을 분자 수준에서 이해하기 위해, 다양한 분석 화학 기술과 질량 분석법을 조합하여 환경과학 연구에 최적화시키거나 새로운 분석 기법을 개발한다. 아울러 연구 과정 중에 발생하는 대용량의 데이터를 시스템적이고 고효율로 처리하기 위한 빅데이터 처리 기술도 함께 연구하고 있다. |
Prof. | 민경은 | Prof. Kyung-Eun Min |
---|---|
Homepage | 사이트 바로가기 |
Tel | 062-715-3280 |
Intro. | ATMOS Lab(Atmospheric Trace MOlecule Sensing Laboratory, 대기 오염 물질 측정 연구실)은 실제 대기에서 일어나는 오염 물질 발생 과정을 이해하기 위해, 측정적 근거를 제시함으로써, 현세대가 직면하고 있는 대기 환경 문제(미세먼지, 오존 고농도 현상 및 기후변동 등)들을 해결함에 그 목표를 두고 있다. ATMOS Lab에서는 세계적 수준의 장비를 독자적인 기술로 개발하고, 이를 여러 규모의 연구(multi-scale studies)에 활용함으로써 다양한 자료를 획득·분석할 뿐만 아니라, 국내·외 우수 연구 그룹들과의 협업을 추진, 전지구적인 문제를 다룸으로써, 대한민국 대기 환경 자주권 수호 연구에 앞장서고자 한다. 구체적인 연구 주제로는 1) 대류권 산화과정 관련 기체 및 입자상 물질의 관측 장비 개발, 2) 1)을 이용한 이차 생성 유기 에어로졸 (초미세먼지) 형성과정 연구, 3) 대기-지표, 생물권 및 해양 간의 상호작용 연구 등이 있으며, 이들 연구는 실험실 내에서 뿐만 아니라 지상, 타워, 선상 및 항공 등의 다양한 플랫폼에서 이루어질 예정이다. 보다 자세한 ATMOS Lab 소개는 연구실 홈페이지(http://atmoslab.gist.ac.kr)를 통해서 찾아 볼 수 있다. |
Prof. | 박기홍 | Prof. Kihong Park |
---|---|
Homepage | 사이트 바로가기 |
Tel | 062-715-2463 |
Intro. | 에어로졸공학모니터링 연구실(Aerosol Technology and Monitoring Laboratory, ATML)에서는 에어로졸의 기후변화 영향, 대기에서의 나노입자 생성과 성장 실시간 측정 및 분석, 대기입자의 다양한 물리적/화학적 특성규명 및 측정기술 개발, 레이저를 이용한 오염물질 실시간 측정기술 개발, 입자의 화학적/물리적 반응, 구름형성 에어로졸 입자 연구, 입자질량분석기, 입자 분광계 등의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지구의 복사에너지 균형, 기후변화, 구름형성, 시정장애, 대기화학반응 등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며 인체의 건강에 유해한 물질로 알려져 있는 에어로졸 입자를 연구하고 있으며 다양한 환경문제를 이해하고 해결하는데 초석이 되는 과학적 지식을 제공하고 있다. 또한 새로운 에어로졸/나노입자 측정 및 제어기술 개발은 담수화과정 나노콜로이드입자 측정, 토양내 중금속 측정, 반도체제조, 계측기기, 나노입자를 이용한 신소재 개발 및 코팅기술, 나노입자제조 및 합성 등의 다양한 응용 분야에 활용하는 연구도 수행하고 계획하고 있다. |
Prof. | 박영준 | Prof. Youngjune Park |
---|---|
Homepage | 사이트 바로가기 |
Tel | 062-715-2836 |
Intro. | 탄소에너지시스템 연구실 (CnESL) 연구실은 인류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해 최근 가장 큰 이슈가 되고 있는 에너지와 지구온난화 문제를 탄소의 순환구조로 인식하고, 이에 대한 능동적이고 근원적인 해결책을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융합 과학 및 공학적 지식을 바탕으로 비전통 화석연료의 개발 및 활용에서부터 이산화탄소 처리 기술 개발을 아우르는 다양한 에너지 및 환경 관련 연구 주제를 다룬다. 중점 연구 분야는, (i) 이산화탄소 포집, 전환 및 저장을 위한 플랫폼 기술 개발, (ii) 메탄 하이드레이트 및 세일 가스 등의 비전통 화석연료원 개발 및, (iii) 이들 탄소를 기반으로 한 비전통 에너지원의 지속 가능한 활용을 위한 재료 및 공정기술 개발이다. |
Prof. | 송철한 | Prof. Chul-Han Song |
---|---|
Homepage | 사이트 바로가기 |
Tel | 062-715-3319 |
Intro. | 대기질 모델링과 관측결과와의 통합적 연구는 대기환경 및 기후변화 연구에 있어 매우 유용한 과학적 수단이다. 대기화학정보연구실(Atmospheric chemical Information Research Laboratory, AIR lab.)에서는 대기 조성의 변화에 기인한 대기질 및 기후변화의 연구를 위해 무차원 라그랑지안 박스모델에서 3차원 광화학수송모델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모델링 시스템을 구축 및 운영 중에 있으며, 무인 항공기(Drone)와 인공위성(Satellite)등 다양한 능동적/수동적 관측자료들을 함께 활용함으로써 도시 규모에서 부터 전 지구 규모까지 모든 규모의 대기환경에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특히, 오염물질의 배출 정보 검증, 대규모 오염원들의 배출오염물질의 감시-감독, 대기오염의 현황 및 원인규명, 중국으로부터의 대기오염물질의 장거리이동 영향, 대기오염에 의한 기후변화 등 대기환경적으로 중요한 현안들에 대한 연구를 진행 중이다. |
Prof. | 윤진호 | Prof. Jinho Yoon |
---|---|
Homepage | 사이트 바로가기 |
Tel | 062-715-2464 |
Intro. | 기후변화는 전지구적인 문제지만 지역적인 영향은 더 복잡합니다. 기후 분석 모델링 연구실에서는 그런 기후변화에 대한 이해, 예측, 대응책을 다양한 관측자료의 분석 및 기후모델을 개발/응용 등의 방법으로 이해하고 연구합니다. 세부적으로 다음과 같은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
Prof. | 이윤호 | Prof. Yunho Lee |
---|---|
Homepage | 사이트 바로가기 |
Tel | 062-715-2823 |
Intro. | 수질 및 수처리 연구실(Water Quality and Treatment Laboratory, WQTL)에서는 수환경 및 수처리 공정에서 일어나는 산화/환원 화학반응을 이해하고 또한 처리기술로서 적용함으로서, 먹는물을 포함한 다양한 수자원을 좀더 깨끗하고 건강하게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본 연구실의 현재 중점 연구 대상은 다양한 수환경 (호수, 구름, 수처리 공정, 생물내)에 존재하는 여러 산화제와 유, 무기 화합물 간의 산화/환원 반응이다. 산화제로는 활성 산소, 할로겐 산화제 및 철 산화제를 주로 다루며, 이들과 미량 유기 오염물질, 생체 고분자 및 수중 무기 이온과의 반응을 다룬다. 화학 반응 속도, 메커니즘, 반응 생성물을 측정하고 이러한 결과가 수질에 미치는 영향을 예측하며 또한 그 결과에 기반한 수처리 기술을 개발하거나 최적화 한다. |
Prof. | 이재영 | Prof. Jaeyoung Lee |
---|---|
Homepage | 사이트 바로가기 |
Tel | 062-715-2579 |
Intro. | ERTL 연구실(Electrochemical Reaction & Technology Laboratory)은 전기화학의 원리를 이용하여 실제 산업체에 사용 가능한 실용전극촉매와 전도성 금속산화물의 개발과 응용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연구실에서 개발된 나노 크기의 촉매와 나노구조 (tube, wire, template)의 금속산화물을 생체친화적 이동형 연료전지, 바닷물 전기분해, 이산화탄소 환원, 수소발생연구에 활용하고 있다. 기초연구와 시스템 개발을 동시에 추진하여 상호문제점을 보완하고,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학문적/산업덕 파장이 큰 (High Risk, High Impact Research) 전기화학 공정의 개발을 진행하고 있다. |
Prof. | 장인섭 | Prof. In Seop Chang |
---|---|
Homepage | 사이트 바로가기 |
Tel | 062-715-2454 |
Intro. | 에너지바이오텍 연구실 (Energy and Biotechnology Laboratory, EBL)에서는 환경적 측면에서의 에너지 생산 시스템 구축을 위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본 연구실의 전문분야로서 합성가스 (syn-gas)를 생물학적으로 전환하여 바이오 에탄올, 부탄올 등의 생화학 연료를 생산하는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환경 샘플 내에 함유된 생 촉매로 이용될 수 있는 미생물 균주의 분리 (isolation), 연료 생성 관련 대사경로를 조절하기 위한 미생물의 유전학적 개량 (genetic Engineering), 우수한 균주를 이용한 bioreactor의 제작 및 운전, 그리고 새로운 생물공정 개발 등을 통해 biochemical 생산을 위한 최적화 연구가 동시에 진행되고 있다. 또한 친환경적 전력 생성을 위하여 생물질을 촉매로 이용한 바이오 연료 전지 (bio-fuel cell)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효소 혹은 미생물을 촉매로 이용한 바이오 연료전지 시스템은 상온에서의 구동 및 연료 공급이 용이하다는 장점 때문에 미래의 친환경대체에너지 기술로서 주목 받고 있다. 바이오 연료전지의 최적 시스템 구축을 위하여 유전자 공학 및 전기화학적 기술을 바탕으로 생촉매 내부 및 생촉매와 전극의 interface 상에서의 전자전달반응 시의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다방면에서의 기술을 개발 및 구축하고 있다. |
Prof. | 주종훈 | Prof. Jonghoon Joo |
---|---|
Homepage | 사이트 바로가기 |
Tel | 062-715-2843 |
Intro. |
에너지/환경 소재 연구실에서는 에너지/환경 문제 해결을 위한 소재 개발 및 공정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소재 원천 연구를 바탕으로 에너지/환경 분야에의 다양한 응용 연구를 통해 기후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새로운 기술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의 중점 연구 분야는 결정결함화학 및 전기화학을 기반으로 한 연료전지, 청정 수소 생산, 이산화탄소 자원화, 메탄 고부가가치화, 전고체 배터리 등의 첨단 소재 개발 및 공정 기술 개발입니다. 이 외에도 반도체 DRAM, 전자파 흡수체, 바이오 세라믹 소재 등 세라믹에서의 결정결함화학이 응용 될 수 있는 분야의 연구 또한 수행 중에 있습니다. |
Prof. | 최희철 | Prof. Heechul Choi |
---|---|
Homepage | 사이트 바로가기 |
Tel | 062-715-2576 |
Intro. | 환경나노 연구실에서는 최근 모든 연구분야에 걸쳐 가장 중요한 과제가 되고 있는 나노 기술을 이용한 상.하수 처리 및 지하수 복원 연구를 수행 중이다. 특별히 나노 사이즈의 오염물질의 이동, 반응, 제거에 대한 현상 규명과 지금까지의 수 처리를 위한 재료들 보다 그 효율성을 극대화 시킬 수 있는 나노 사이즈의 수 처리 물질 개발이 본 연구실의 중점 연구 내용이다. 주요 연구 분야는 다음과 같다.
|
Prof. | 한승희 | Prof. Seunghee Han |
---|---|
Homepage | 사이트 바로가기 |
Tel | 062-715-2480 |
Intro. | 미량금속생지화학 연구실 (Trace metal biogeochemistry Laboratory) 에서는 대기, 토양, 수층에 존재하는 미량 중금속의 거동과 순환을 생지구화학적 관점에서 연구한다. 자연환경에 미량으로 존재하는 중금속은 인류의 산업활동 이후 지속적인 농도의 증가로 생태환경에 미치는 영향이 확대되고 있다. Clean technique과 atomic fluorescence spectrometry를 이용한 미량금속 정량을 중심으로geochemical parameters 측정, 동위원소를 이용한 화학종 추적 및 미생물의 생태연구 등을 병행하여 중금속 오염원 주변의 생지구화학, 중금속의 거동과 순환에 관련된 미생물 생태, 그리고 지구환경변화와 중금속 순환의 연관성 등을 연구한다. |
Prof. | 허호길 | Prof. Hor-Gil Hur |
---|---|
Homepage | 사이트 바로가기 |
Tel | 062-715-2455 |
Intro. | 환경미생물 연구실에서는 난분해성 유기물질을 분해하거나, 중금속의 이화학적 특성을 변화시키는 미생물들의 생리적 특성들을 분자생물학, 생화학, 생태학적으로 규명하고 이들을 환경공학적 연구에 적용될 수 있도록 연구하고 있다. 따라서 다양한 미생물 자원을 확보하고 관련하는 유전자 효소등에 대한 심층적 연구를 수행중에 있다. 그리고 병원성 균주의 생태환경중 추적을 가능하게 하는 Microbial Source Tracking 방법의 개발을 위한 분자생물학적 연구를 수행 중에 있다. |
Prof. | 황희정 | Prof. Huijeong Hwang |
---|---|
Homepage | 사이트 바로가기 |
Tel | 062-715-2814 |
Intro. |
지구물질과학 연구실에서는 열역학의 주요 요인인 압력과 온도를 조절하여 지구상에 존재하는 다양한 물질의 물리 및 화학적 변화를 알아보는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에서는 방사광 가속기 연구시설과 같은 최첨단 연구시설에서의 X-선 회절, 적외선 분광과 같은 연구 기법과 결정학적 지식을 바탕으로 하여, 다양한 온도 및 압력 조건에서의 물질의 구조적 변화 및 물성 변화에 대하여 이론 및 실험적으로 규명을 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극한환경조건에서의 물질의 구조 변화, 상전이, 물성 변화와 같은 물질에 대한 기초 연구를 바탕으로 지구과학과 같은 자연 과학 연구, 그리고 다양한 물질을 활용한 방사성 핵종 원소처리, 기체 포집, 신에너지물질 합성과 같은 환경공학 및 에너지 과학 분야를 아우를 수 있는 첨단 융합연구를 수행하고자 합니다 |